Introduction 티스토리 블로그에 정착한지 꽤 오래 되었습니다. 젤처음 블로그 개설을 2008년도 쯔음에 시작하였습니다. 지금으로부터 12~13년 정도 되었네요. 블로그를 시작할 때는 잘 몰랐지만, 수많은 개발 언어를 카테고리로 생성하여 이것저것 블로그에 포스팅을 하게 되었습니다. 그리고 시간이 지나 안드로이드 및 기타 컴퓨터비젼 등 여러자료들을 추가하게 되었는데, 어떤날은 600~700명 정도도 들어오는 날이 있었더라구요. (최근에 안 사실...) 그리고 블로그의 통계 수치를 초기화와 동시에 블로그의 스킨 변경과 데이터를 전부 삭제 진행을 몇번 하게 되었습니다. 블로그의 내용들이 왔다갔다 많이 하긴 했지만, 지금 블로그 스킨으로 당분간 계속 포스팅할 예정입니다. 변경하더라도 인터페이스가 변경되지..
Introduction 의심이 많아서 와후키커 세대구분을 찾아보았습니다. 세대 구분은 wahoofitness 홈페이지에 접속하면 확인이 가능합니다. 메인 이미지와 같이 나타나있는데 해외/국내에 표기되어있는 부분이 다릅니다. KICKR '18 (와후 키커 5세대) KICKR '17 KICKR '16 KICKR '14 와후 키커 5세대의 경우, 상단(젤왼쪽) 이미지와 같습니다. 4세대와의 차이점은 이미지에 나타나있는 Recessed area(오목한 영역) 입니다. 말 그대로 표기된 부분이 움푹 들어가 있습니다. 기존 4세대 제품의 경우 유투브를 살펴보니, 오목하지 않고 평평한(flat)형태로 되어있었습니다. 이러한 차이점을 알고 구매하시면 되지 않을까 합니다. 이전 세대는 그림에 (파란색 선)표기된 것과 같..
Introduction 이번 포스팅은 즈위프트(zwift)의 실행화면에 대해 알아보고자 합니다. 블로그들을 찾아보면 지난 인터페이스로 인해 혼돈이 되더라구요. 그래서 메뉴를 확인차 겸사겸사 스크린샷을 찍어두었습니다. 그리고 각각의 메뉴를 잘 알아야 라이딩 할 때, 당혹스러운 상황들이 없어지겠죠? 당연히 실내/실외 둘다 마찬가지로 정보가 우선인 것 같습니다. 첫 소개글은 여기가지 쓰고, 바로 넘어가도록 하겠습니다. 용어설명 #리스트 FTP(Functional Threshold power) ERG 모드 사용 와트(W) - 추후 업데이트 예정 케이던스 - 추후 업데이트 예정 #FTP(Functional Threshold power) 라이딩을 하면서, 자신의 파워가 얼마인지 궁금해 하시는 분들이 많이 있습니다...
Introduction 안녕하세요? 다양한 블로거들이 있을꺼라 생각합니다. 티스토리에 블로그 포스팅을 어떻게 하시는지는 모르지만, 오래전부터 블로그에 포스팅을 하기위한 여러가지 방법들을 고민하며 마크다운부터 github에 블로그 포스팅하는 방법 외에 다양한 방법을 시도하다 에버노트까지 넘어왔었습니다. 하지만, 티스토리가 개편됨으로 인해 에버노트 플러그인이 2021.01월 기준으로 삭제 되었습니다. 더이상 사용할 수 없다는 것이죠. 그래서 앞서 에버노트에서 포스팅 한 경우, 사진이 무려 27장 정도 됩니다. 포스팅할 때 "사진업로드 -> 글 복사/붙여넣기 -> 글(색상수정)" 의 과정을 무한 반복했죠. 하지만 블로그 포스팅이 끝이나고나서 몇가지 테스트를 해보니, 에버노트에서 티스토리로 블로그 포스팅 할 수..
Introduction 이번 포스팅은 실내 자전거로라를 구매하면서 포스팅을 하게 되었습니다. 작년에 골절로 인해 자전거를 못타다보니, 자전거를 어떻게 할까 고민하다 실내로라를 사는쪽으로 방향을 틀었습니다. 실내로라도 종류가 많이 있습니다. 자전거 뒷 타이어를 분리하지 않고 사용하는 로라의 경우, 타이어가 열(?)이 발생할 경우 1급 발암물질이 나온다는 글들이 많더군요. 처음에는 로라의 선택을 이렇게 할까 고민했었는데, 돈을 더 주고서라도 스마트 로라로 넘어가기로 결심하였습니다. 블로그 포스팅 하는 시점에서는 앞에 다른 로라를 사용해보지는 않았지만, 충분히 그 값어치를 한다라고 말씀드리고 싶네요. 블로그 포스팅의 내용은 스마트로라(와후 키커)에 대한 언박싱과 사용방법에 대해 설명하고자 합니다. 아직 저도 ..
(이미지출처: 구글링) Introduction RMA를 지난 포스팅에 신청하는 방법을 정리해두었습니다. 그리고 RMA의 진행과정을 정리해두기위해 포스팅을 합니다. 지난 포스팅은 RMA를 신청하고 배송받을 주소를 받았습니다. 이후 우편작업부터 포스팅을 시작하도록 하겠습니다. RMA 진행과정 RMA 진행과정은 일자별로 기록을 하도록 하겠습니다. 블로그 포스팅을 보는 분들을 위해 (과거(상단)) 오도록 정리하였습니다. @2020.11.09(월) 우체국에 방문하여, WD m.2 ssd 1TB 포장 후, 뽁뽁이로 감고 발송하였습니다. 택배비용: 4,000 + 400(박스) = 4,400원 주소 영문주소로 입력을 해야할 것 같으나, 국내주소로 발송하였습니다. RMA 번호가 박스에만 적혀있으면 일처리하는 부분은 상관..
Update : 2020.12.30 #수정사항 현재버전 : Media Player r 2.1.3.0 version 재생목록 마우스 우클릭 메뉴 추가 (목록에서 원하는 항목 선택 후 진행 - 다중 선택 가능) 점수 일괄 부여 (0~5) 추가 태그 일괄 등록/삭제 추가 (폴더 선택 후) 파일 이동/복사 기능 추가 그룹목록 마우스 우클릭 메뉴 추가 (목록에서 원하는 항목 선택 후 진행 - 다중 선택 가능) (선택된 목록) 전체음원을 재생목록으로 추가 가능 (선택된 목록) 점수(0~5) 부여된 항목을 재생목록으로 추가 가능 태그 목록 마우스 우클릭 메뉴 추가 (선택된 목록) 재생목록으로 추가 가능 그룹 목록 검색기능 추가 전체/파일/점수/태그 4가지로 중복 검색 가능. 공백(" ") 으로 분리 기타 태그 목록(..
Introduction 이번에 블로그 및 서버에 있는 자료를 정리하며, 문득(?) 원격 접속관련하여 보안이 어떤지 생각하다 검색해보니, 엄청 놀랄만한 충격을 받았습니다. 컴퓨터를 사용하고 있는 지금도 외부의 어딘지 모르는 장소로부터 윈도우 원격접속을 시도하고 있으니깐요. 놀라울 따름인데, 로그인 시도 로그를 보고 IP차단을 하면 어떨까 생각되어 블로그를 포스팅 하게 되었습니다. 인터넷을 조금 찾아찾아 정리하는거라 간단하게 요약(?) 정도로만 올리도록 할께요. 목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이미지가 많아서 저도 혼돈혼돈... #목차 원격접속 로그(Log) 확인 방법 원격 접속한 IP 확인하기(목록 저장 후 추출) 방화벽을 이용하여 IP 차단하기 원격접속 로그(Log) 확인 방법 현재 사용하고 있는 컴퓨터에 윈도..
Introduction vector를 이용하면서 정렬이 필요한 경우가 있습니다. 여러가지를 이용할 수 있지만, 제목에 맞춰 vector를 이용하여 정렬하는 방법에 대해 정리하도록 하겠습니다. 간단한 내용이기 때문에 코드와 약간의 설명만 추가하여 넘어가도록 하겠습니다. 이후 필요한 자료가 있을 경우, 포스팅에 추가 혹은 블로그에 업로드 하도록 하겠습니다. vector 형태 정렬 방법 #구조체 정의 typedef struct _monitorArg { int index; int left; _monitorArg(int i, int _n){ index = i; left = _n; } }ST_MONITORARG; 구조체는 index, left 값을 가지고 있습니다. 이때, left의 값을 이용하여 정렬(오름/내림)..
Introduction 기존에 만들어진 모듈을 하나로 어떻게 취합할까 고민하다 DLL관련 작업을 시작하였습니다. 그렇게 프로젝트를 하나씩 추가하다보니 몇가지 문제가 생겼습니다. 추가하는 프로젝트의 Platform 설정이 뒤죽박죽이 되어버리는 것아닌가요? 그래서 빌드되는 path가 엉망이 되어버렸습니다. 그래서 path문제를 해결하기위해 이것저것 찾아보니 엄청 간단하게 해결 가능하였습니다.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Visual Studio Property 설정 상단 그림과 같이 "All Configurations" , "All Platforms" 를 선택합니다. 그리고 빌드 후 출력되는 path를 다음과 같이 설정 합니다. #설정1 $(SolutionDir)$(Platform)\$(Configuration..
Introduction 블로그에 포스팅을 하지 않으려고 하였지만, 어느새 자료를 찾아 하나씩 정리하다보니, 블로그에 포스팅을 해야겠다는 생각을 했습니다. 당연히 향후 작업할 때 찾아보기 쉽게 정리하기 위해서죠. 소스코드도 정리해서 올려둬야 할까? 고민이 되네요. 일단 궁금한 점들이 있어 먼저 이야기를 해볼까 합니다. Windows 기반에서 Library를 사용하는데 있어 정적(static)/동적(Dynamic) 라이브러리를 사용하게 됩니다. 이부분에 대해서는 크게 설명하지 않아도 인터넷자료를 찾아보면 많이 나옵니다. 하지만, Visual Studio를 열고나서 라이브러리를 만들고자 할 때, 당황스러운 상황이 발생하게 됩니다. 아래의 설명을 보시면 알겠지만, 라이브러리를 만들 수 있는 방법이 여러가지가 있..
Introduction 이번 포스팅을 준비하는데 있어, 틈틈히 한글(인코딩)과 관련된 자료를 찾아보느라 소요시간이 많이 걸렸습니다. 본 포스팅에서 참조한 레퍼런스는 공개하도록 하겠습니다. 각 페이지에 접속하여 오래된 자료부터 천천히 하나씩 읽어보시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그 이유는 최근 자료들이 만들어지기까지 여러 블로그를 타고 다니며, 조금씩 개선된 부분도 있고 조금 이상한 부분도 있었습니다. 그래서 본 포스팅에서 다루지 못하는 내용들은 참조 링크를 확인 후 필요에 따라 추가 작업을 하시면 좋지 않을까 합니다. 그럼 본 포스팅의 최종 목적은 "인코딩에 문제 없이 코딩하고 싶다." 입니다. 그래서 iOS, Android, Windows, macOS 등에서 자유롭게 데이터를 주고 받고 싶은것이 목적입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