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troduction openCV 4.3 version이 release되어 블로그 포스팅을 합니다. 이번에는 이전 블로그의 내용이 길어서 간략한 버전으로 작성하였습니다. 4.2 version 과 동일하게 진행되었으며 자세한 내용이 필요한 경우 이전 포스팅( https://www.vbflash.net/31) 을 참조 해주시기 바랍니다. 참고바랍니다. (update : 2020.08.05) openCV 4.4.0 Build with CUDA CUDA,TBB,IPP,MKL,Engin,protobuf,openBLAS https://www.vbflash.net/78 openCV 4.3.0 Build with CUDA CUDA,TBB,IPP,MKL,Engin,protobuf,openBLAS https://www...
Introduction 일주일이 지난 시점에 이것저것 수정하여 블로그로 포스팅 합니다. 음악 정리를 위해서 시작한건데...이것저것 찾다보니 Qt 나 다른 UI를 쓸 수 있는 것들이 많이 있어서 현재 만들고 있는것들을 계속하며 추가 작업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제가 원하는 기능들이 Qt쪽에도 다 있는지는 모르겠지만, (없으면 지금 하고 있는 개발툴에서 리펙토링 실시예정)... 걱정은 되네요. 향후 작업들을 위해서 지금하고 있는 것들을 버리지 못하니깐요... 아무튼 서버에 2만개나 가지고 있는 음악정리가 얼추 되어가고 있으니 음악을 다 듣기전에 향후 작업을 계속 정리해두어야 할 것 같네요...(주절주절은 요기까지하고 업데이트 내용을 적도록 하겠습니다.) 퓨림노 드림 Goal/Function Goal 음원파일 ..
Introduction 이번 포스팅에서는 SW의 ICON, 및 버튼 이미지들을 임시(?)로 변경해두었습니다. 배경도 바꾸고 싶었는데, 개발만하다보니, 디자인 감각이 자꾸 떨어지는 듯한 느낌이 드네요. 이후 업데이트 할때는 디자인도 전체적으로 한번 더 손을 보도록 해야하겠습니다. 포스팅을 위해서, 하나의 포스팅을 계속 수정하는게 좋을까 고민을 하고 있는데, Update 내역을 새로운 포스팅에 계속 누적하여 작성하도록 하겠습니다. 변경되는 디자인 등등은 추후 일괄 정리하여 업데이트하도록 하겠습니다. 퓨림노 드림 Goal/Function Goal 음원파일 관리 그룹지정 평점관리 (그룹별 평균 평점 가시화) 중복파일 체크(진행중) 음원파일 폴더 재구성 (이동/복사) Computer Vision 음원 분석을 통한..
Introduction 수정을 하다보니, 이것저것 불편한 부분을 수정하였습니다. 아래 업데이트예정(comming soon)건 외에 불편한 것이 없을 것같아, 당분간 이대로 사용하려고 합니다. 몇가지 문제점 중 해결방안이 떠오르는 건 바로 수정하고, 수정내역을 모아 추후 업데이트 하도록 하겠습니다. Notice/Memo App 디자인 같이 진행하실분 연락주세요~^^ 문의사항 및 기타의견은 vitaro.games@gmail.com 로 보내어주시기 바랍니다. 퓨림노 드림 Goal/Function Goal 음원파일 관리 그룹지정 평점관리 (그룹별 평균 평점 가시화) 중복파일 체크(진행중) 음원파일 폴더 재구성 (이동/복사) Computer Vision 음원 분석을 통한 취향에 따른 폴더 자동 재구성 음원의 가사..
Introduction 이번 포스팅은 기존에 보유하고 있던 mp3 파일이 점점 늘어남에 따라, 이파일들을 관리해보고자 만들기 시작하였습니다. 예전부터 만들어야지 하면서 시간이 엄청 지났었는데, 만들고보니 꼬박 2일(?) 걸렸네요. 이번에 만들고 있는 건 음악을 개인 취향에 따라, 그룹(Group)을 생성하고, 리스트를 구성할 수 있도록 하였습니다. 그리고 각각의 음악에 대해서는 점수 5~1점을 지정할 수 있습니다. 이후, 이를 활용하여 개인이 좋아하는 음악을 자동분류까지 진행예정입니다. (음파~음파~ 분석을..) 시간이 저에게 허락을 해주는동안 업데이트는 계속 할 예정입니다. 그리고 만들고 있는 것들은 추후 하나로 통합할 계획인데, 기대해주세요~^^ Notice/Memo App 디자인 같이 진행하실분 연..
뇨미타로 : Major Introduction 이번 포스팅은 타로(Taro)카드와 관련된 내용을 포스팅하려고 합니다. 포스팅을 하는 일자를 기준으로 약 1주일 전부터 가지고 있는 코드를 정리를 하며 만들기 시작하였습니다. 개인적으로는 타로카드는 에스카플로네를 보면서 알게되었습니다. 에니메이션을 보면서 호기심에 인터넷 커뮤니티 및 구글링을 통해 정보를 접하기 시작하였습니다. (10년도 더 된 지난 이야기..) 그 이후로 뇨미타로(땅의 정령 카드)를 구매하게 되었습니다. 타로카드를 구매하고나서, 처음에는 각 카드의 의미와, 배치 등 여러가지를 머리속에 기억하고 있었지만, 가끔 꺼내어서 타로카드를 볼때 잊어버리는 경우가 종종 있었습니다. 그래서 카드의 정보를 조금 더 빠르게 검색할 수 있도록 프로그램으로 만들..
개요 용눈이오름(龍眼岳 / 龍遊岳 / 龍臥岳)은 제주특별자치도의 제주시 구좌읍 종달리에 있는 오름(측화산)이다. 표고 247.8m, 비고 88m, 둘레 2,685m, 면적 404,264m2, 저경 773m로 이루어져 있다.[1] WiKi 백과 참조 위치&교통 [참조 : 네이버지도] 참고 : 위 사진은 라이트룸(Map)에서 보이는 사진입니다. 출발지 주소 네이버지도 : "용눈이오름입구" 검색 등반 소요시간 (약 15분 소요) 출발 : 15:00 도착 : 15:14 하산 : 16:00 (기준 : 1바퀴 돌고, 하산 후 주차장에서의 시간) 기타 정상에 도착해서, 한바퀴 도는데 시간이 조금 소요됩니다. 천천히 걷고 내려오시길 바랍니다. 사진 & 영상 주차장은 널널하여 좋았습니다. 더운날씨일 경우, 쉬원한 것들도..
개요 백약이오름(百藥岳)은 제주특별자치도 서귀포시 표선면 금백조로에 위치한 오름이다. 백약이오름은 예로부터 약재가 많이 나오는 것으로 유명하여 백약이오름으로 불린다. 백약이오름은 많은 약초들이 자생하고 있다. 백약이오름의 북동쪽으로는 문석이오름, 동남쪽으로는 좌보미오름, 서남쪽으로는 돌리미오름이 있다. WikI 백과 참조 위치&교통 출발지 주소 네이버지도 : "백약이오름입구" 검색 등반 소요시간 (약 40분 소요, 사진촬영하면서 등반) 출발 : 13:20 도착 : 14:00 하산 : 14:20 (1바퀴 돌고, 하산 후 주차장에서의 시간) 사진&영상 백약이 오름(2019.09)
Introduction 이번 포스팅은 지난 글에 이어 openCV빌드 후 설정하는 방법에 대해 정리하고자 합니다. openCV를 설정하는 방법은 기본적으로 visual studio등에서 직접 Dll, Lib 파일을 추가하며 include 폴더를 직접 링크를 걸어두고 프로젝트를 수행하게 됩니다. 이러한 반복작업을 조금 더 효율적으로 하기위한 방법을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환경설정1 (수동조작) SW에서 임의로 추가할 경우, path설정이 삭제될 수 있기때문에 아래의 환경설정은 수동으로 추가해주시면 됩니다. 설정은 한번만 하면 됩니다. 아래의 그림을 참조하여 Windows 시스템 전역 변수에 아래의 항목을 추가 합니다. 시스템 변수의 Path 항목 편집 선택 * 참고 : 이때, 컴퓨터를 사용하는 환경에 따라..
(사진출처 : 구글링) Essay 엘리베이터 앞에서 오랫동안 기다려본적이 있는지요? 점심시간이나 저녁시간이 되면, 많은 사람들이 엘리베이터를 이용하게 됩니다. 이때, 엘리베이터 앞에서 5분 혹은 10분이 넘도록 기다려보신적이 있나요? 엘리베이터가 왜 안오는 것일까? 왜 우리층에는 멈추지 않는 것일까? 그런 의문이 들지 않을까 합니다. 엘리베이터는 운용과정들을 설계하면서, 안전장치나 기타 시설부분 위주로 설계가 되지 않았을까 합니다.물론 각 건물마다 엘리베이터 제조사가 다르듯, 내용또한 다르겠지요. 이번 포스팅에서 하고 싶은말은, 엘리베이터 앞에서 오랫동안 기다리지 않고 타는 방법이 무엇일까? 고민을 해볼까 합니다. 먼저, 건물의 층별 구조를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호텔 층별 구조 14층 : 숙박 …(숙..
Introduction 석/박사 과정을 수행하는 대학원생은 국책과제를 진행 시 과제의 제안서 작성 및 예산편성을 하게 된다. 이때, 각 연구실별로 랩장또는 과제제안서를 작성하는 박사과정이라면 Man/Month에 대해 들어보았을 것이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Man/Month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 오랫동안 대학원 생활을 하면서 그 많은 과제 제안서 및 예산편성과 관련된 자료 및 참여연구원 관리를 하였지만, 제대로 알지 모른 체 서류를 수식과 양식에 맞춰 작성하다 보니 업무의 양이 얼마나 많은지도 모르고 과제를 수행하였다. 그리고 2018년 7월 1일부터 종업원 300인 이상의 사업장과 공공기관을 대상으로 시행됐다. 이에 따라 많은 IT업계에 있는 인원들은 이에 맞춰 적응을 해야 한다. 이 인원들은 관리자뿐..
Introduction 딥러닝 공부중, 논문과 code를 제공해주는 곳이 있어서 링크 걸고 넘어 갑니다. 링크는 아래에서 확인 가능. 논문 내용은 블로그에 미업로드 예정. 각자 공부하는 걸로. Reference https://paperswithcode.com/